티스토리 뷰

국방부는 군복무기간 단축을 2018년 10월 1일 전역자부터 단계적으로 적용한다. 군복무기간 단축은 입대일 기준으로 2017년 1월 3일 입대자부터 적용하고, 현재 군에서 복무중인 현역병도 혜택을 받는다.





# 군복무기간 단축 언제부터: 2018년 10월 1일 전역자부터 병 복무기간 단축 시행 (단계적으 로2주마다 하루씩 단축)

육군·해군·해병대는 군복무기간이 3개월 단축되고, 공군은 2개월 단축된다. 특히, 입대시기에 따라서 복무기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2주 단위 1일씩' 단계적으로 단축한다.


육군 기준 '2018년 10월 1일 전역자(2017년 1월 3일 입대자)'부터 2주 단위로 1일씩 단축할 경우 2021년 12월 14일 전역자(2020년 6월 15일 입대자)까지 단축 완료된다.





# 병사 목무기간 단축 (2018년 10월 1일 전역자부터 시행)

- 육군ㆍ해병대 복무기간: 현 21개월 -> 18개월(2021년 말) 단축

- 해군 복무기간: 현 23개월 -> 20개월 단축

- 공군 복무기간: 현 24개월 -> 22개월 단축

- 사회복무요원 복무기간: 현 24개월 -> 21개월 단축

- 산업기능요원 복무기간: 현 26개월 -> 23개월 단축



군복무기간 줄인다.. 육군 18개월




군복무기간 단축은 학업·취업 등 청년들의 병역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고, 숙련도가 필요한 보직은 부사관으로 대체할 예정이다. 또한, 병장 월급은 2018년 406,000원 -> 2020년 540,800원까지 상승 후 2022년 676,000원으로 인상한다.





# 질문) 군복무기간 단축 적용때문에 입영을 연기하고 싶은데 가능한가?

입영일자 연기는 질병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을 경우에 증빙서류를 제출하면 관련 규정에 따라 연기가 가능하지만 '군복무기간 단축'은 연기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다.



입대 일자에 따른 단축 일수 (육군 기준)



# 군복무기간 단축 네티즌 평가

아이디 target***은 "2년 6개월 했는데 1년이나 줄어들다니 억울하지만 문재인 정부 칭찬합니다"라고 말했고, Monika***는 "예비역으로서 환영합니다. 군복무기간 단축은 모병제가 되기 전까지 아마 최대한 줄인 것 같네요"라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예비군 동원기간 4년 -> 3년




<육군·해병대 / 의무경찰/ 상근예비역 군복무기간 계산>



<해군 / 의무해양경찰 / 의무소방원 군복무기간 계산>



<공군 군복무기간 계산>



<사회복무요원 군복무기간 계산>



<산업기능요원(보충역) 군복무기간 계산>



댓글